지진 대피요령 미리 숙지하고 있어야 안전해요
최근 튀르키에에서 일어난 강진 소식은 매우 안타깝고 마음 아픈 일입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작지만 후원과 구호물품을 보내며 뉴스를 챙겨보고 있습니다. 한 분이라도 더 구조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대한민국은 일본이나 대만과는 달리 큰 지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나라이지만, 판경계부에 위치해 있지 않고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2016년 경주에서 5.8의 규모로 발생한 지진과 2017년도 5.4의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지진은 다른 재난과 달리 언제 어디서 어느 규모로 발생할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대피요령을 숙지하고 미리 준비해 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꼭 읽어보시고 기억해 두시기를 바랍니다.
실내에 있을 때 대피 요령
가장 잘 알려진 것처럼 지진이 발생한 경우, 우선 튼튼한 책상이나 탁자 아래로 숨어서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지진으로 땅이 흔들리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1-2분 정도이며, 움직임이 멈출 때까지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후에는 가스 및 전기 스위치를 끄고, 현관문이나 창문을 열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한 번에 지진이 그치는 경우보다 여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피할 수 있는 출구를 통해 넓은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식탁이나 탁자 아래로 숨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지만, 건물 붕괴와 같이 큰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장 좋은 대피 장소는 화장실입니다. 화장실은 철근이 많이 사용되어 있고, 건물의 가장 튼튼한 공간 중 하나이며, 물을 저장할 수 있어 생존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벽이 두껍고 현관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실제로 지진이 발생했을 때 구조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장소입니다.
대피할 때는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해 이동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는 고립되면 가장 위험한 공간이며, 화재 등 2차 사고 위험성이 큰 공간입니다.
실외에 있을 때에 대피요령
지진이 났을 때 실외에서 가장 큰 위험요소는 붕괴되는 건물의 잔해나 건물에 달려있던 간판 등이 떨어져서 머리에 맞는 경우입니다. 야외에 있을 때에는 이러한 위험요소에서 최대한 멀리 벗어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건물에서 떨어져 이동해야 하고 머리를 손으로 감싸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피장소는 공터나 운동장 등 넓은 장소가 좋습니다.
차 안에 있을 때에 대피 요령
차 안에 있을 때에는 비상등을 켜고 도로 오른쪽에 정차를 해야 합니다. 비상시 사용을 하거나 긴급 출동 차량의 진행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차키를 꽂아둔 채로 대피를 해야 합니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고가도로나 다리위쪽으로 이동하면 붕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진입하면 안 되고 이미 고가도로나 교량의 위에 있다면 최대한 빠르게 벗어나야 합니다.
지하철을 탔을 때에 지진 발생 대피 요령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지진이 발생하면, 손잡이나 기둥 등을 잡고 흔들림에 저항한 후 지하철이나 전철이 멈출 때까지 대기합니다. 그리고 안내에 따라 대피를 진행합니다. 지진이 멈춘 것처럼 보이더라도 무작정 밖으로 뛰쳐나가면 더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안내에 귀 기울이며 대피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에 탔을 때 지진 발생 시 대피 요령
지진 발생 시 엘리베이터를 이용 중일 경우, 모든 층에 열리는 버튼이 있는 층에서 신속하게 탈출해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로 1층까지 이동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가장 가까운 층에서 내려 계단을 이용해 이동해야 합니다.
영유아와 함께 있을 때 대피 요령
영아나 유아를 대피할 때에는 유모차보다는 아기띠를 사용하여 보호자와 함께 머리를 보호하며 이동해야 합니다. 또한 대피 시에는 신발을 꼭 신은 후 보호자와 손을 꼭 잡고 행동요령을 계속해서 인지시켜줘야 합니다.
지진대피장소 확인 방법 - 안전디딤돌
지진 발생 시 대피할 장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안전디딤돌'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어플은 지진 대피소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추천합니다. 안전디딤돌 어플을 설치한 후 대피소 조회 메뉴에서 위치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지역의 지진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 마루바닥 청소 방법과 관리 방법 알아봐요 (0) | 2023.03.08 |
---|---|
보관이사 이삿짐 보관 비용 아끼는 방법 (0) | 2023.03.07 |
키보드 청소 방법 새거 같이 깨끗하게 (0) | 2023.02.27 |
휴대폰 충전기 고르는 방법 기기에 맞는 충전기 찾기 (0) | 2023.02.21 |
요가 효과 30분만 투자하면 건강한 생활 가능 (0) | 2023.02.20 |